도덕경- 이태호 철학박사
도덕경 36장
(1) 원문
將欲歙之, 必固張之. 將欲弱之, 必固强之. 將欲廢之, 必固興之. 將欲奪之, 必固與之. 是謂微明, 柔弱勝剛强. 魚不可脫於淵, 國之利器不可以示人.
장욕흡지, 필고장지. 장욕약지, 필고강지. 장욕폐지, 필고흥지. 장욕탈지, 필고여지. 시위미명, 유약승강강. 어불가탈어연, 국지이기불가이시인.
----------------------------------------------------------------------
흡(歙) : 줄이다. 움츠리다.
고(固) : 굳다. 오로지. 이미. 미리. 본디. 항상
장(張) : 베풀다. 넓다. 넓히다. 펼치다.
폐(廢) : 폐하다. 피폐하다. 그만두다. 부서지다.
흥(興) : 흥하다. 부흥하다. 일다. 일어나다. 일으키다.
탈(奪) : 빼앗다. 잃다. 없어지다.
여(與) : 주다. 베풀다.
미(微) : 작다. 적다. 숨다. 숨기다. 숨겨져 있다.
시(示) : 보다. 보이다. 드러내다. 알리다.
----------------------------------------------------------------------
(2) 번역
장차 움츠리기 위해서는 반드시 미리 펼침이 있어야 하고, 장차 약해지기 위해서는 반드시 미리 강함이 있어야 하고, 장차 피폐해지기 위해서는 반드시 미리 부흥함이 있어야 하고, 장차 빼앗는 상황이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미리 주는 상황이 있어야 한다. 이것을 숨겨진 밝음(微明)이라고 한다. (결국 이것은) 부드럽고 약한 것이 단단하고 강한 것을 이긴다(는 점을 보여준다). 물고기는 연못을 벗어나 살 수 없듯이, 나라를 이롭게 하는 물건은 사람들에게 보여 주어서는 안 된다.(남에게 보이기 위해 강해지려는 것은 물고기가 연못을 벗어나는 것처럼 위험하다.)
[도덕경 36장 요약도]
미명(微明)
장욕(將欲) : 장차 ~ 되고자 함
필고(必固) : 반드시 미리 주어져 있음
빔(虛)
은(隱)
흡(歙) : 움츠림
장(張) : 펼침
채움(實)
시(示)
약(弱) : 약함
강(强) : 강함
폐(廢) : 폐함
흥(興) : 흥함
탈(奪) : 뺏김
여(與) : 줌
승(勝)
유약(柔弱) : 부드럽고 약함
강강(剛强) : 단단하고 강함
패(敗)
자연
(自然)
물고기가 연못에 있음
물고기가 연못에서 나옴
부자연
(不自然)
이기(利器)를 은폐(隱蔽)함
이기(利器)를 남에게 드러냄(示人)
(4) 문제제기
1. 약육강식의 세계에서는 부드럽고 약한 자는 단단하고 강한 자에게 먹이가 될 것 같은데 이긴다고 할 수 있는가?
2. 부드럽고 약한 것이 단단하고 강한 것을 이긴다고 한다면, 반대로 단단하고 강 한 것이 부드럽고 약한 것을 이긴다고 해도 되는가?